[chinese zodiac] HAPPY NEW YEAR~~12띠 동물 이야기 2023년 계묘년 (검은 토끼의해)
새해가 밝았어요~~~
2023년 첫날 첫포스팅으로 서양에서는chinese zodiac 이라 부르는
12띠12지신 동물에 대해 알아보고 쉽고 재미 있게
도형을 이용해 재미있는 그림도 그려 보아요.
서양에서는 부르는 명칭이 여러 가지지만 Chinese Zodiac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생초(중국어: 生肖, 한어 병음: Shēngxiào, 한글 표기: 선샤오)는 12년 주기에 따라 각각의 해에 동물 하나와 그 동물을 가리키는 특징을 연관짓는 구조이며, 매년 음력 1월 1일 기준 또는 24절기 중 입춘 기준으로 하여 띠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래의 운명에 대한 체계적인 개요인데, 중국과 베트남, 한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통용된다.
중국의 황도대는 음력에 근거한 전통적인 분류 체계로 동물과 그것의 유명한 속성을 12년 주기로 반복적으로 할당한다. 중국에서 기원한 황도대와 그 변형은 일본, 한국, 베트남, 싱가포르, 네팔, 부탄, 태국과 같은 많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일반적인 용어 "조디악"을 사용하여 이 계획을 식별하는 것은 서양 황도대와 몇 가지 표면적인 유사점을 반영한다: 둘 다 12개의 부분으로 나뉘는 시간 주기를 가지고 있고,
각각은 적어도 그 부분들의 대부분을 동물의 이름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각은 사람의 성격이나 그들의 삶에서의 사건들을 그들의 문화로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다.
황도대는 12개의 동물로 표현되는 반면, 서양 황도대의 별자리 중 일부는 동물이 아니다.
영어 문화권에서 통용되는 용어로 직역하면, 중국 황도대(中國 黃道帶, Chinese Zodiac)이다.
여기에서 쓰인 용어, "황도대"는 서양의 황도대와의 몇 가지의 유사성을 반영한다. 그 둘은 모두 12 부분으로 분할되는 시간 주기를 지니며, 그중 다수가 각각 동물의 이름이 붙어 있고, 넓게는 한 사람의 삶에서 그 각각의 성격과 사건의 주기가 그 사람의 관계에 대한 효력을 지닌다고 여기는 문화와 연관된다. 그렇지만 중요한 차이점들도 있다. 12부분의 주기가 서양 황도대에서는 달로 분할되는 반면, 중국 황도대는 해로 분할된다. 서양의 황도대는 조디악(Zodiac)의 어원에 동물의 뜻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개는 동물이 아니지만, 중국 황도대는 전부 다 동물이다. 그리고 중국 황도대는 이름과는 달리 황도에 해당되는 것은 고사하고, 별자리와도 상관이 없다.
전통적으로 띠는 쥐띠부터 시작된다. 다음은 순서대로 띠를 나열하며 그것의 한자, 연관된 지지(地支), 각각의 음양(陰陽)과 3분의 1대좌 순서 그리고 오행의 고정 원소를 덧붙인다.[1]
- 쥐: 서(鼠): 자(子): 양(陽, 1번째 대좌, 원소: 물
- 소 우(牛): 축(丑): (베트남에서는 물소) 음(陰), 2번째 대좌, 원소: 물
- 호랑이: 호(虎): 인(寅): 양(陽, 3번째 대좌, 원소: 나무
- 토끼 토(兔 또는 兎): 묘(卯) (베트남에서는 고양이): 음, 4번째 대좌, 원소: 나무
- 용: 용(龍 또는 龙): 진(辰): 양(陽), 1번째 대좌, 원소: 나무
- 뱀: 사(蛇): 사(巳): 음(陰), 2번째 대좌, 원소: 불
- 말: 마(馬 또는 马): 오(午) 양(陽), 3번째 대좌, 원소: 불
- 양(또는 염소): 양(羊): 미(未) 음(陰), 4번째 대좌, 원소: 불
- 원숭이: 후(猴): 신(申): 양(陽), 1번째 대좌, 원소: 쇠
- 닭: 계(雞 또는 鸡): 유(酉): 음(陰), 2번째 대좌, 원소: 쇠
- 개: 구(狗) 또는 견(犬): 술戌): 양(陽), 3번째 대좌, 원소: 쇠
- 돼지: 저(豬 또는 猪): 해(亥): 음(陰), 4번째 대좌, 원소: 물
중국 점성술에서 이 동물 띠는 연(年, year)에 할당 되어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지 또는 당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나타내는지를 상징한다. 연도에 할당된 동물들은 단 하나씩의 띠들이라는 개념과 중국 점성술에 대한 많은 서양의 묘사에서 그러한 체계로만 접근하는 것은 일반적인 오해이다. 띠는 연지(年支)라고 불리는 연도의 띠 이외에도 사실은 월(月, month)과 일(日, day) 그리고 십이시의 시진(時辰, hours)에 할당 되어, 각각 (내면의 띠인) 월지(月支), (실제 띠인) 일지(日支) 그리고 (비밀의 띠인) 시지(時支)를 대표한다.
예를 들어, 용해에 태어난 사람은 외견상으로는 용띠임과 동시에, (내면적으로는) 뱀띠일 수도 있고, (실제로는) 소띠일 수도 있고, (비밀스럽게는) 양띠일 수도 있다.
월주와 절기
사주에서 월(月, month)의 간지(干支)인 월주(月主)는 한 사람의 부모나 유년 시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기둥이다.
열두 동물은 음력과 함께 전통적인 농사력과도 연결된다. 그 달력은 월 대신에 절기(節氣, solar terms)로 알려진 약 두 주(週, week)씩의 24 개의 기간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동물은 두 개씩의 절기에 결부되는데, 그 기간은 양력의 한 달과 비슷하다. 서양력인 양력에 비해서 많게는 한달 정도까지의 차이가 생기기도 하는 육십갑자의 음력과는 달리, 중국의 농사력인 절기는 매년 2월 3일이나 4일에 시작하므로 하루 정도의 차이만이 나타난다. 또한, 쥐띠부터 시작되는 육십갑자의 주기와는 달리 절기는 봄의 첫 번째 동물로써의 호랑이띠부터 시작된다.
각각의 띠는 양력의 1개월씩과 연결된다. 오행 중에서 각각의 원소들도 하나의 월과 연결되며 하나의 띠와 하나의 계절을 공유하는 각각의 원소는 띠의 고정 원소도 되는데, 사주에서는 그것에 양(陽)이나 음(陰)이 더해진 천간(天干)으로써 월간(月干)이라 불린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 원소는 해당되는 띠에 그것의 특징들 중 일부를 전해준다고 여겨진다. 각각의 띠의 고정 원소는 연(年, year)의 띠와 시진(時辰, hours)의 띠에도 적용되며, 사주에서는 그것에 양이나 음이 더해진 천간으로써 각각 연간(年干)과 시간(時干)이라 불린다.
띠의 기원 설화
생초의 시작을 설명하는 많은 우화와 설화가 있다. 한나라 때부터, 십이지가 하루의 시간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재미와 편의의 목적으로 그것들은 열두 동물로 대체되었다. 24시간은 12 기간씩으로 분할되며, 그 동물들의 행동 묘사는 기억술이 된다.
하나의 지지는 두 시간의 기간이다. 일곱 번째 지지인 말이 이 주기의 중심으로써,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의 기간이나 오후를 뜻한다.
- 쥐(자시): 23:00 ~ 00:59: 이 시간은 쥐가 먹이를 찾느라 가장 분주한 때이다. 쥐는 앞다리의 발가락 수와 뒷다리의 발가락 수가 다른데, 그러므로 쥐는 "전환"이나 "새로운 시작"의 상징성을 얻었다.
- 소(축시): 01:00 ~ 02:59: 이 시간은 소가 느리고 편안하게 되새김질을 시작하는 때이다.
- 호랑이(인시): 03:00 ~ 04:59: 이 시간은 호랑이가 먹이에 상처내며 사나움을 드러내는 때이다.
- 토끼(묘시): 05:00 ~ 06:59: 이 시간은 우화에 따르면 달에 사는 옥토끼가 약초를 찧느라 바쁜 때이다.
- 용(진시): 07:00 ~ 08:59: 이 시간은 용이 비를 뿌리기 위해 하늘에 멈춰 떠있는 때이다.
- 뱀(사시): 09:00 ~ 10:59: 이 시간은 뱀이 굴을 떠나는 시간이다.
- 말(오시): 11:00 ~ 12:59: 이 시간은 태양이 높이 떠있으므로, 다른 동물들은 쉬려고 누워있는데 반해, 말은 계속 서 있는 시간이다.
- 양(미시): 13:00 ~ 14:59: 이 시간은 양이 풀을 뜯으며, 자주 오줌 싸는 때이다.
- 원숭이(신시): 15:00 ~ 16:59: 이 시간은 원숭이가 활기 넘치는 때이다.
- 닭(유시): 17:00 ~ 18:59: 이 시간은 닭이 우리로 되돌아 가기 시작하는 때이다.
- 개(술시): 19:00 ~ 20:59: 이 시간은 개가 집지키는 의무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 돼지(해시): 21:00 ~ 22:59: 이 시간은 돼지가 단잠에 빠져있는 때이다.
2023년 올해는 토끼의해 계묘년 입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2동물띠를 도형을 이용해 쉽고 재미있게 그리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께요~~
'그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절 엄마랑 미술홈스쿨 -우리나라꽃 무궁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려보자. (0) | 2021.02.27 |
---|